창의성은 타고난다고 많은 이들이 생각합니다. 하지만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이 훈련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창의성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위대한 업적을 냈던 인물과 성과물들(Big-C). 역사적 평가나 개인적 차이를 보여주는 큰 창의성(Big-C)보다 개인적으로 자신의 경험과 행동 등을 새롭고 의미있는 해석으로 만드는 미니 창의성(mini-C)를 키우길 바랍니다.
삼성엔지니어링 인재개발팀,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사기획팀,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경영지원실 설비구매팀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더와이랩 대표이사에 재직 중입니다. 진로, 취업, 창업, 기업 교육 등 전 분야에서 강연하고 있으며 세계 3대 인명사전인 Who's Who in the World 에 등재되어 있는 교육 전문가입니다.
[관련 교육 수료 및 연구과제 수행]
- The Experiential Classroom 수료 (University of Florida)
- Planning the Entrepreneurial Venture 수료 (미국 KAFFMAN Foundation)
- 2017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재 개발 및 현장 교사 양성 방안 연구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 2016 청소년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교원 연수 교육]
- 2017 중등 1급 정교사(진로진학상담교사) 자격연수(경기도 학생연수원), 손에 잡히는 학급경영 노하우 직무연수, 중등 1급 정교사(진로진학상담교사)자격연수(대전교육연수원)
- 2016 행복한 학교 경영! 중등 교장 직무연수 (대전교육연수원)
- 2016 중등 1급 정교사(진로진학상담교사) 자격연수 교육과정 강의(대전교육연수원, 충남교육연수원)
- 2015 중등 교장 선진 리더십 직무연수, 중등 교감 자격 연수 강의(대전교육연수원)
- 2015 중등 1급 정교사(진로진학상담교사) 자격연수 교육과정 강의(충남교육연수원)
- 2015 자유학기제 정책 이해 직무 연수 강의 (대전교육연수원)
- 2015 경기도교육청 교사지원단 워크숍 강의 (주제:줄 세우지 않는 교육에서 희망을 찾다)
- 인천시교육청, 경상도교육청, 광주교육청, 김포교육지원청, 광명시교육지원청, 화성오산시교육지원청 연수
- 2013, 201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상담센터 대표강사 연수 강의
[HRD Consulting & Training]
- 하이네켄 코리아 전사 조직문화개선 교육 (2017)
- 안랩 커뮤니케이션 및 핵심가치 내재화 16차수 전사 800명 교육 (2016)
- 포스코그룹 업무몰입을 위한 AMP전략 및 Meaning Task Crafting 교육 (2016)
- 현대자동차그룹 2000명 대상 ‘건전한 직업관(Job Crafting)’ 교육(2015, 2016)
- WATERS KOREA, 한국제지 등 Self Leadership, Communication 교육 (2016)
- SWATCH GROUP KOREA ‘Effective Communication’, ‘Team Vision Setting’ 12차수 교육(2015)
- ASML Korea Performance Management & Career Development (2014)
[방송 출연 경력]
- 한국경제 TV ‘잡매거진’, 리얼공감토크쇼 ‘백수잡담’ , 평화방송 라디오 ‘열정으로 두드림-사람만이 희망이다’, KTV ‘일자리가 희망입니다!,
- KBS ‘수요기획’, SBS '리얼코리아', MBC '1318힘을내', EBS '아름다운 세상 커다란 꿈' 출연
창의성 하면 어떤 것이 제일 먼저 떠오르시나요? 스티브 잡스. 아인슈타인 같은 위대한 발명가. 또는 혁신가들이 떠오르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까 우리는 창의성이 왠지 나한테 없는 멀게만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창의성에 대해서 어떤 오해를 하고 있고, 창의성이란 실제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그 전에 우리나라의 창의성 지수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국가 중에 창의성 순위가 몇 위나 될까요?
몇 위인지를 알기 전에 그와 비교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경제 그리고 수학 올림피아드의 순위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GDP 순위는 전 세계 국가 중에 무려 11위로 굉장히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제뿐만 아니라 늘 올림피아드에 나가면 우리나라의 학생들은 전 세계 1위 또는 5위 안에 드는 쾌거를 이룩합니다. 이렇게 경제적으로 또는 수학, 과학적으로 뛰어난 역량을 보이는 한국인이라면 당연히 창의성 지수가 높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나 우리나라의 창의성 지수는 그렇게 높지가 않습니다. 실제 The Global Creative index (글로벌 창의성 지수)라는 것이 있는데, 2015년 발표한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순위는 31위에 가깝습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그나마 31위는 우리가 과학기술의 힘으로 상위권에 포진 되었던 거였고, 사실 인재 점수는 50위 그리고 창의성의 토대가 되는 관용지수는 무려 70위로 굉장히 낮은 순위입니다.
왜 그렇게 우리는 창의성 지수가 낮았던 것일까요? 제 생각에는 창의성에 대한 오해에서부터 시작이 된 것 같습니다.
창의성 하면 우리는 아이폰을 만든 스티브 잡스. 그리고 수많은 과학적 업적을 남긴 아인슈타인처럼 뛰어난 사람 또는 탁월한 사람만이 갖고 있다고 생각하다 보니까 우리가 창의성을 교육하거나 또는 창의성을 갖고 있는 데에서 남 일처럼 여겼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미국 코네티컷 대학에 James C. Kaufman 교수는 이런 창의성을 4가지로 분류하였습니다. 앞서 말한 스티브 잡스나 아인슈타인 같이 위대한 업적을 남긴 창의성은 우리가 Big-C라고 해서 위대한 창의성으로 분류합니다.
하지만 위대한 창의성을 발현하는 사람은 불과 전 세계에 몇 % 되지 않습니다. 대신 오늘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될 창의성은 바로 Mini-C 우리 안에 있는 내재된 창의성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창의성을 다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창의성이 일상 생활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시를 쓰거나 또는 문제를 풀 때 발현되기 시작합니다. 그것을 우리는 Little-C 일상적 창의성이라 합니다.
그리고 일상적 창의성이 전문지식이나 오랜 숙련시간을 거치게 되면 바로 전문적 창의성인 Pro-C로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더 많은 노력을 하게 되면 Big-C가 발현되게 되는 것이죠.
이것처럼 우리 모두 창의성, 내재된 창의성, 일상적 창의성을 누구나 지금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창의성 코칭은 시작됩니다.